사진 정리를 하다가 전에 찍어둔 민달팽이(슬러그 slug)가 눈에 띄였습니다.
바로 이분이신데요,

어떻게 보면 조금 징그러운것 같기도 하고, 또 어떻게 보면 귀엽기도 하고...
떡본김에 제사지낸다는 말도 있듯이 오늘은 민달팽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민달팽이 Slug
복족(배가 발인 개체) 연체동물 gastropod mollusc 로 달팽이집이라고 부르는 패각(shell)이 없는 달팽이
형태
촉수 : 두쌍의 촉수로 이루어져있는데요,
- 위쪽 촉수: 끝에는 눈이 달려있고 따로 움직일 수 있으며 시각과 후각을 담당
- 아래쪽 촉수: 위쪽 촉수보다 짧으며 촉각과 미각을 담당
맨틀 : 머리 뒤쪽에 위치한 호흡기 챔버
호흡공 : 맨틀 옆부분에 자리잡고있으며 폐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발 : 민달팽이의 평평한 배 바닥을 발이라고 합니다

점액 : 두가지 종류의 점액(묽은 점액과 점성이 강한 점액)을 생산, 이러한 점액자국은 짝을 찾는데 도움을 주며 끈끈한 점액은 이동시 미끄러지지 않게 해 줄 뿐더러 천적으로 부터 보호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여기서 잠깐 달팽이 점액으로 만들어진 달팽이 크림에 대해 알아볼까요?
※달팽이크림
달팽이 점액의 주요 성분은 뮤신(mucin)으로, 달팽이 자가치유의 핵심성분이라고 알려지며 이 점액을 이용하여 크림을 생산해 피부보습, 재생,여드름흉터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것과 같이 광고,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정작 함유량은 미미하였고 대부분의 크림의 점성은 달팽이 추출물이 아닌 합성성분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식지
습한곳을 좋아하고 숲, 정원, 풀밭, 동굴등에 서식
특히 비가온 후나, 밤에 활동, 강한 햇빛과 건조한 환경을 싫어합니다.
먹이
식물의 잎,줄기나 과일등 채식성이나 때로는 죽은동물이나 벌레를 먹기도 합니다.
번식
자웅동체로 각 개체가 암컷과 수컷의 생식기관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짝짓기
교미시 자신들의 성기로 서로에게 정자를 주는데 교미후 대부분 각자의 길로 가지만,

어파퍼레이션 (Apophallation)
바나나민달팽이와 표범민달팽이는 가끔 서로의 생식기가 꼬여 그것들을 풀기 위해 상대 또는 자신의 성기를 물어뜯기도 합니다. 이와 별개로 공격적이고 난폭한 놈은 교미후 상대방의 성기를 물어뜯어 성기가 땅에 떨어지면 그것을 먹기도 하는데요, 과학자들은 공격자가 자신의 알을 위해 단백질을 대량 섭취하기 위한 행동, 또는 상대가 다른 개체에게 정자를 번식시키지 못하게 함이라고 설명합니다.
오늘은 민달팽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작물피해를 막기위해 농가에서는 민달팽이 없애는 살충제를 찾고, 뷰티기업들에서는 민달팽이를 이용해 크림을 만드려고 번식시키고..참 민달팽이하나로 어떤이는 울고 어떤이는 웃는게...우리사회이네요.
오늘도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포스터가 카피? (73) | 2025.03.10 |
---|---|
다큐멘터리도 아니고 모큐멘터리? (85) | 2025.03.05 |
좌뇌는 우뇌가 무엇을 보았는지 모른다 (91) | 2025.02.27 |
알바트로 위즈덤이 알을 낳자 사람들이 열광한 이유 (104) | 2025.02.24 |
흥미로운 국기 이야기 (133)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