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피크제

임금피크제란
고용주(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일정 연령까지의 고용을 보장해 주는 대신
근로자가 정해진 연령(피크연령)에 도달되는 시점부터는 임금을 하향 조정하는 제도
임금피크제는 어떻게 적용 되나?
- 정년 보장형:
사업 규칙등에서 정한 정년이 될때까지 고용을 보장해 주는 대신 임금을 어느 시점부터 하향 조정.
60세로 정년이되어있다면, 정년이 되기 3~5년 전 부터 임금 하향조정 시작.
- 정년 연장형:
현 사업 규칙등에 정해진 근로자의 정년을 연장하는 대신, 임금을 하향 조정
임금피크제 효과
- 고용자:
인건비 부담 해소, 보다 낮은 비용으로 노련한 경력자들을 활용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기대
- 근로자:
정년 연장 또는 보장으로 인한 안정성
- 청년 구직자:
임금피크제로 인해 절감된 비용으로 신입 청년 직원들을 고용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기대
유연근무제

유연근무제란
고용인과의 합의하에 근로자가 근로시간이나 장소 또는 요일등을 선택 조정하여
근무하는 제도
유연근무제 취지/목적
디지털화되는 현대 사회속에서 젊은 인재들에게 워라밸에 대한 인식이 부각되며
개개인의 특성과 업무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근무 환경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 함과 동시에 업무에 대한 효율성도 진작시키기 위함
유연근무제 분류및 유형
- 근로 시간 유연화 : 탄력 근로 시간제, 선택적 근로 시간제 등
- 근로 장소의 다양화 : 재택 근무제, 원격 근무제등
- 근무량 조정 : 직무 공유제, 시간제 근로등
- 근무 연속성 유연화 : 장기 휴가, 출산 휴가, 보상 휴가등
오늘은 일과 관련된 정책 용어 임금피트제와 유연근무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두 제도 모두 저출산, 고령화라는 현대 사회 이슈와 맞물려
고용주와 근로자 모두를 위해 만들어 진 정책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본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변질되어 적용됨으로써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 하기도 하는데요,
보다 발전된 기업정신과 책임의식으로
개개인의 가치와 워라밸(삶과 일의 균형)이 존중되어지는
그런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정보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라이팅]혹시 나도? 가스라이팅 사례/대처법 (66) | 2024.11.11 |
---|---|
폰지사기 뜻/예방법/대응책까지 한눈에 (67) | 2024.11.06 |
트랜디한 환경운동[플로깅/비치코밍] (47) | 2024.10.29 |
소비자 기만인가?기업의 똑똑한 마케팅인가? 슈링크플레이션 (38) | 2024.10.23 |
GPS는무엇의 약어?/영어줄임말모음 (71) | 202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