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6

또 한번의 비행기사고..

어제 또 한번의 비행기 사고가 났습니다.아메리칸 에어라인은 성명을 통해 2025년 3월 14일 오후 5시15분(미국현지시간) 기체 엔진 관련 문제로 덴버공항에 비상 착륙했다고 발표했습니다.이 아메리칸 에어라인 1006편은 콜로라도 스프링스를 출발, 댈러스 포트워스로 가던 중이었는데요, 승무원이 엔진 진동을 보고한 후 덴버로 경로를 변경,공항에 도착한 비행기는 불이 나기 시작하였고 승객들은 비행기 날개쪽을 통해 밖으로 대피하였습니다.172명의 승객들과 6명의 기장 포함 승무원들은 모두 무사히 대피하였고, 면밀한 검토를 위해 6명의 승객들만 병원으로 이송되었다고 합니다.매우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엔진결함을 발견한 승무원, 이를 간과하지않고 덴버공항에 비상착륙을 결정한 기장들, 그리고 침착히 대..

이야기 2025.03.15

위스키 whisky,whiskey? 맞는철자는?

저번주 토요일은 저녁모임이 있었습니다. 한달에 한번갖는 가족 모임입니다. 아이들 고모가 생일에 선물을 받았다고 하며 위스키를 개봉! 자연히 위스키에대한 이러저러한 이야기들이 오고갔고..ㅎㅎ 오랜만에 물만난 물고기마냥..제대로 달렸습니다. 술자리에가면 꼭한번은 그날 마시는 술과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게 되는것 같은데요.. 오늘은 위스키에 대해 흥미로운 사실들 위주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우선 위스키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부터 살펴보자면위스키 주 원료맥아(보리의 싹을 틔운 후 건조시킨것, 몰트라고도 함)를 주로 사용하여 만들지만 옥수수, 밀등 다양한 곡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몰트(malt:맥아)위스키: 맥아로 만들어진 위스키그레인(grain:곡물)위스키: 다른 곡물들로 만들어진 위스키블렌디드(blende..

이야기 2025.03.13

이 포스터가 카피?

우리나라처럼 병역의 의무가 부여되지 않는 나라는 전쟁시 군인력 확충이 절실히 요구되어질텐데요,이 포스터 너무나 유명하지요? 이라고 불리우는 포스터로, 1917년 제작되어 1차,2차 세계대전중에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어진 포스터입니다.하지만 이 포스터가 다른 포스터를 카피한것이라는 사실 혹시 알고 계신가요?원조 : 영국의 Lord Kitchener Wants You>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나?키치너 경은 1914년 8월에 영국의 국방부장관으로 임명되며 독일군과 싸우기위한 군대모집의 임무를 수여받게되고,같은해 9월5일 그래픽 아티스트인 프레드 리트 (Alfred Leete)에 의해 고안된 키치너경의 포스터 광고가 ‘런던오피니언(London Opinion)’이라는 유명잡지에 처음 실리며 약30만명의 사람들이 이 ..

이야기 2025.03.10

다큐멘터리도 아니고 모큐멘터리?

2009년에 상영한 영화 혹시 보신적 있으신가요?저는 맨처음 이 영화를 보면서 ‘어? 뭐지’ ‘이거 가짜야, 진짜야?’ 하면서 빠져들어 봤던 기억이 나는데요,모두 연출된 장면이라하기에는 여배우들의 말투며 행동들 그리고 상황들이 너무 사실적이었고 그냥 ‘여배우들이 모이면 이렇다’라는걸 보여주기 위한 다큐멘터리처럼 보였거든요.그때만 하더라도 이러한 장르가 많지 않았고, 지금처럼 유튜브가 활성화되어있지 않아 영화에 대한 정보도 그렇게 많지 않았던 때였기에, 더더욱 ‘혹시 진짜인건가’ 라는 순진한 생각을 하며 보았습니다. ♣ 영화홍보 아니구요, 오늘 제가 말씀드리려고 하는 영화장르때문인데요바로 모큐멘터리 Mockumentary입니다.모큐멘터리란‘놀리다 또는 모조품의’라는뜻의 모크mock 와 다큐멘터리docum..

이야기 2025.03.05

마지노선이 사람이름인거 아시나요?

마지노선은 더이상 물러설 수 없는 마지막 보루, 최후의 방어선, 한계점이라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마지노선은 원래 프랑스의 장군 '마지노(Maginot)의 선'이라는 뜻입니다. 마지노선(Maginot Line)이란프랑스가 독일과의 전쟁(2차세계대전)을 준비하며 독일과 인접한 국경에 만든 엄청나게 큰 요새 지대를 뜻합니다.만든 배경1차세계대전에서 승리한 프랑스였지만, 전쟁중 800만명이의 프랑스국민들이 독일로 끌려갔으며 그중 52%는 사망하거나 부상을 당했습니다. 지금 서울의 인구가 약 900만명이니, 거의 서울인구의 반이 다치거나 죽은것인데요. 이처럼 너무많은 사상자를 낸 전쟁에 프랑스는 멘붕에 빠졌는지, 전쟁으로 더이상 많은 국민들을 희생시키지 말아야한다는 일념하에 아무리 센 전투력을 갖춘 부대..

정보/상식 2025.03.03

강제로 여자가 됐어요

사진 정리를 하다가 전에 찍어둔 민달팽이(슬러그 slug)가 눈에 띄였습니다.바로 이분이신데요,어떻게 보면 조금 징그러운것 같기도 하고, 또 어떻게 보면 귀엽기도 하고...떡본김에 제사지낸다는 말도 있듯이 오늘은 민달팽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민달팽이 Slug복족(배가 발인 개체) 연체동물 gastropod mollusc 로 달팽이집이라고 부르는 패각(shell)이 없는 달팽이형태 촉수 : 두쌍의 촉수로 이루어져있는데요,위쪽 촉수: 끝에는 눈이 달려있고 따로 움직일 수 있으며 시각과 후각을 담당아래쪽 촉수: 위쪽 촉수보다 짧으며 촉각과 미각을 담당맨틀 : 머리 뒤쪽에 위치한 호흡기 챔버호흡공 : 맨틀 옆부분에 자리잡고있으며 폐와 연결되어 있습니다발 : 민달팽이의 평평한 배 바닥을 발이라고 합니다점액 : ..

이야기 2025.03.01

좌뇌는 우뇌가 무엇을 보았는지 모른다

좌뇌는 정보를 받아 논리적, 수학적, 과학적, 분석적 사고및 추론의 과정을 거쳐 알맞은 단어를 선택, 듣기, 말하기, 읽기, 및 쓰기를 주도합니다. 또한 오른손의 기능과 신체의 오른쪽을 제어합니다.우뇌는 공간능력, 입체의 시각화, 이미지 처리, 창의성, 음악및 미술등의 예술성, 상상력, 커뮤니케이션의 전체 맥락이해, 신체언어및 사회적 공감등을 주도합니다. 또한 우뇌는 왼손의 기능과 신체의 왼쪽을 제어합니다. 좌뇌와 우뇌는 뇌량(corpus callosum코퍼스 컬로섬)이라고 하는 다리로 연결되어져 있는데, 간혹 간질과 같은 이유로 수술을 통해 뇌량을 영구히 절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음은 닥터 마이클 가지니가(Michael S. Gazzaniga)가 뇌량 절개 수술을 받은 죠(Joe)에대하여 실험한 내..

이야기 2025.02.27

알바트로 위즈덤이 알을 낳자 사람들이 열광한 이유

그녀의 나이 74세에 어미새가 된 실화 위즈덤 이야기입니다.위즈덤(Wisdom 지혜) 은 레이산 알바트로스(Laysan albatross)로 현재 공식적으로 밝혀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살고있는 야생 새이며 가장 오랜기간동안 표식을 차고 있는 새입니다. 1956년 12월 10일 처음으로 다리에 표식을 차게 되었을때 나이가 5세정도 되었던것으로 추정됩니다.미국 정부 산하 USGS(U.S. Geological Survey)는 처음 표식을 찬 1956년 이래로 위즈덤을 추적해 왔는데요,위즈덤은 지금까지 약 4,800,000km이상 (지구의 둘레의 약 120 배)을 비행했다고 추정되어지며 다리에 부착한 표식은 총 6 번을 교체했습니다. 2014년 12월3일 미드웨이 아톨(Midway Atoll National W..

이야기 2025.02.24

라듐걸스-새로나온 아이돌?

라듐걸스라고 들어보셨나요? 왠지 익숙한 이름이실텐데요, 매우 유명하여 영화로도 제작되었습니다.라듐은 방사선원소로 각종 질병과 암을 유발할 수 있는 1급 발암 물질입니다. 라듐의 발견퀴리부인으로 잘 알려진 마리퀴리(Marie Curie)와 남편 피에르퀴리(Pierre Curie)에 의해 처음 발견된 라듐1898년 피치블렌드라는 우라늄광석에서 염화라듐을 처음발견, 라듐이 우라늄보다 더 강력한 방사선이 나온다는 것을 알아낸 후 순수한 염화 라듐을 얻기위해 연구에 매진,1902년 처음으로 0.2g의 순수한 염화라듐을 추출하는데 성공,190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 : 방사능 발견과 연구의 공로를 인정 받아 여성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가 되었고 (남편 피에르와 공동 수상)1906년 남편 피에르퀴리가 마차에치여 안타깝..

이야기 2025.02.18
728x90